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만 나이 계산법 총 정리(세는 나이, 연 나이)

by trip lover 2025. 6. 17.
728x90
반응형

만 나이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만 나이를 계산하는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만 나이는 생일을 기준으로 실제로 경과한 연수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만 나이의 적용 사유는?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나이를 만 나이로 표기합니다. 그래서 '세는 나이'와 '연 나이' 그리고 '만 나이'가 혼동되어 왔습니다. 그래서 정부에서 '만 나이'로 기준을 잡았습니다. 생일을 기준으로 명확하고 확실하게 계산되니까 행정 효율성이 높아지는게 이유였습니다.

 

세는  나이, 연 나이

그럼 '세는 나이'와 '연 나이'가 뭔지 궁금하실 수도 있습니다. '세는 나이'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태어나자 마자 1살로 정해지고 그 다음해부터 1살씩 증가되는 방식입니다. '연나이'는 출생연도만 보고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생일은 무시하고 현재연도에서 출생연도를 빼는 계산법입니다. 보통 우리가 알고 있던 나이는 '세는 나이'입니다.

 

 

2023년 6월 28일을 기준으로 대한민국에서 법적으로 모든 행정기준이 만나이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본인의 만나이를 알아두는 것이 필수가 되었습니다.

 

만 나이 계산법

계산법은 간단합니다. 지금연도에서 출생연도를 빼면 됩니다. 여기서 생일이 지나지 않은 사람은 1세를 더 빼면 됩니다.

 

예를 들어 지금년도 2025년에서 출생연도 1998년을 빼면 27세가 나옵니다. 근데 만약 현시점 생일이 지나지 않았으면 여기서 1세를 더 뺀 26세가 만 나이가 되는 겁니다. 

 

 

오늘은 '만 나이'와 '세는 나이' 그리고 '연 나이'에 대해서 알아봤고 '만나이' 계산법에 대해서도 알아보았습니다. '만 나이'가 적용되어 물리적인 숫자가 줄어듦에 따라 홀가분해진 것은 기분탓이겠죠ㅎㅎ. 여하튼 만 나이로 계산하여 몇 살이라도 젊게 살아봐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