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프로야구 선수 연봉 순위 상위 10위 2025시즌 KBO 리그가 본격적으로 개막하면서 각 팀의 주축 선수들의 연봉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KBO 역사상 처음으로 팬들과 언론이 주목하는 해입니다.
이 기사에서는 2025 KBO 연봉 TOP10에 초점을 맞추고 포지션별, 구단별 연봉 흐름도 살펴보겠습니다. 모든 자료는 KBO 공식 발표와 구단 보도자료를 기반으로 합니다.
2025 KBO 연봉 톱 10
1. 2025년 KBO 연봉 상위 10위 2025시즌 KBO 프로야구 연봉순위 1위는 연봉 30억 원으로 유일하게 1위를 차지한 SSG의 김광현 선수였습니다. 이는 KBO 리그 역사상 구단이 단일 시즌에 30억 원을 돌파한 최초의 사례입니다.
공동 준우승자는 KT 고영표, 한화 류현진, 삼성 구자욱으로 각각 연봉 20억 원을 받고 있습니다. 주목할 만한 점은 투수 2명과 외야수 1명이 같은 금액으로 공동 2위를 차지했다는 점입니다.
다음은 최정 SSG(17억), 두산 양의지(16억), 롯데 박세웅(13억 5천만), LG 박동원과 김현수(각각 12억), NC 박민우입니다. 총 10명이 TOP10에 포함되었으며, 동일한 금액을 기준으로 공동 순위가 처리되었습니다.
포지션별로 살펴보면
2. 각 위치를 살펴보기 포지션별로 살펴보면 투수 포지션의 강세가 뚜렷하게 드러납니다. 연봉 상위 10명 중 6명이 투수로, 특히 김광현(30억), 고영표(20억), 류현진(20억)이 각 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포수 포지션에서는 두산 양의지가 16억 원으로 선두를 달리고 있고, LG 박동원이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내야수 포지션은 SSG 최정이 17억 원으로 가장 높고, 박민우(NC)와 김혜성(키움)은 각각 11억 원의 연봉을 받고 있습니다.
외야 부문에서는 구자욱(삼성, 20억 원)이 타자 중 가장 높은 연봉을 기록했고, LG 김현수가 12억 원으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그 결과, 포지션별 연봉 격차는 투수 > 외야수 > 포수 > 내야수 순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구단별로 살펴보면
3. 프로야구 연봉순위를 각 팀 별로 조사했습니다 구단별 평균 연봉을 보면 SSG가 평균 2억 2,125만 원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김광현(30억 원), 최정(17억 원) 등 고액 연봉자가 다수 포진해 있기 때문입니다. 그 뒤를 이어 삼성(1억 8,410만 원), 롯데(1억 7,530만 원), 한화(1억 7,448만 원), 그리고 KIA(1억 7,779만 원)가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습니다.